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angular
- SSL인증서
- securitykey
- 일기
- passport.js
- anaconda
- 가상사설망
- Ke
- 안좋은습관10가지
- 웹기획
- Vue
- keytool
- TensorFlow
- 요구사항정의서 #기획 #UI/UX기획
- CSS #flex
- webpack
- Javascript #MDN #Webs #Docs
- nodejs
- Git
- PublicKey
- es5 #es6
- guide
- privateKey
- tsotry
- javascript #prototype # array # find()
- typescript
- Storyboard
- CSS #pseudo-classes
- 해시함수
- behaviorsubject
Archives
- Today
- Total
민자의 지식창고
Gzip이란? 본문
gizp?
GNU zip의 준말.
#데이터의 흐름
(사용전)
1. broswer가 server측에 /index.html을 요청합니다.
2. server는 Request를 해석을 합니다.
3. Response에 요청한 내용을 다시 보냅니다
4. wating 후 broswer에 보여줍니다
(사용후)
1. broswer가 server측에 /index.html을 요청합니다.
2. server는 Request를 해석을 합니다.
3. Response에 요청한 내용을 다시 보냅니다. (해당 내용을 압축)
4. Response header에 압축 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 후 broswer는 해댱 내용을 받고 압축을 해제 한 후 사용자에 보여줍니다.
결론. Server는 client에게 보낼 Response를 압축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가는 질문에는 NO!
서버에서 압축한 내용을 client에게 보내면 그대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압축을 해제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cpu를 사용하게 되어 오히려 랜더링 과정이 느려질수도 있습니다.
적용 전과 후에 대해 성능에 대해 측정 가능 사이트
728x90
'개발노트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urity Key (0) | 2020.11.27 |
---|---|
SSL 인증서 (0) | 2020.11.26 |
tomcat.service is not a native service (0) | 2020.09.16 |
Git Hub remote: Permission 403 (0) | 2020.08.19 |
Web 서버 구축(Linux-ubuntu7) (0) | 2020.08.05 |